성주농업
Agricul ture
재배기술
정식전 토양관리 및 포장준비 정보공개
정식전 토양관리 및 포장준비 탭
정식전 토양관리 및 포장준비 탭
참외정보센터
재배기술
정식전 토양관리 및 포장준비
-
연작장해 대책 및 염류 제거
-
태양열 토양소독
- 저투입․환경보존형으로 비교적 안전한 태양열을 이용한 토양소독법이 최근 많이 이용하고 있음.
- 7~8월 고온기에 20일 이상 실시해야함
- 경운 후 유기물(쌀겨, 퇴비 등) 시용하고 멀칭비닐을 피복, 충분한 관수와 하우스 전체를 밀폐해야함
※ 주의 : 온도 상승 위해 석회 시용시 토양검정 후 실시 - 작업순서
- - 태양의 열에너지를 어떻게 토양 중에 축적시키고 축적된 열을 어떻게 병원균에 대해 유효하게 작용시키느냐에 달려 있으며 표준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음
- ① 경 운
- 수확이 끝난 후 토양을 20cm 이상 깊이갈이 실시 - ② 유기물과 석회시용
* 경기도원 추천방법
- 볏짚, 옥수수짚 등 벼과작물의 잎줄기를 잘게 썬 유기물(건물중으로 2톤/10a정도), 해당작물 기비량의 질소비료를 고루 살포하고 로터리해서 토양 중에 잘 혼합
** 유기농업협회 추천방법
- 하우스 100평당 탄소원 유기자재(왕겨, 톱밥, 볏짚, 풀 등) 1,500kg와 계분, 돈분, 우분등 질소원 자재 700kg, 미생물제제를 100kg과 혼합 후 균강을 만들어 고루 뿌리며, 생석회도 2포정도 토양 전면적 고루 뿌린 후 로터리함 - ③ 작은 이랑 만들기
- 지표면적 넓혀 열전도율 높이도록 작은 이랑 (폭 60~70cm) - ④ 지표면 피복
- 헌 투명비닐 등으로 골고루 피복함 - ⑤ 일시담수
- 고랑사이에 물을 가득 담수상태로 하고 물을 땐다 밭 상태로 되면 다시 반복함(가능한 한 2~3회 실시) - ⑥ 하우스 밀폐
- 이상의 작업이 끝나면 하우스를 완전밀폐하고 밀폐정도가 하우스내 기온상승을 좌우하고 따라서 지온의 상승도 결정함 - ⑦ 하우스 개방․피복 제거
- ① 경 운
- - 태양의 열에너지를 어떻게 토양 중에 축적시키고 축적된 열을 어떻게 병원균에 대해 유효하게 작용시키느냐에 달려 있으며 표준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음
-
담수처리
- -휴작기간 중에 담수처리 합리적이며 제염효과는 토성에 따라 다르나 200mm의 관수를 행하면 대부분 염류 제거
- -(태양열 소독 후 담수처리하면 매우효과적)
-
제염작물재배: 수단그라스, 옥수수, 수수, 참깨, 총채벼등
- 시설참외하우스 1동당 1.5~2kg 파종(7~8월 파종)
- 파종 후 관수 실시하고 1~2개월 생육시킨 뒤 로터리로 녹비화
- 위 작업 후 반드시 토양검정을 받아 필요한 기비를 시용
(수단그라스재배)
(참깨재배)
-
답전윤환 재배
- 참외폐경 후 하우스에 담수 후 벼를 재배하면 염류집적 해소 및 토양선충 방제에 큰 효과
-
객토 및 표토제거
- 5~10cm 두께로 객토하거나 3~5cm정도의 겉흙을 제거
-
휴한기 피복물 제거
- 1~2년에 한번정도 여름에 피복물을 제거하여 비를 충분히 맞히면 염류농도가 크게 저하되고 빗물을 맞히는 기간을 길게 하거나 폭우 기간을 적절히 이용하면 효과
-
깊이갈이 및 심토반전
- 시설재배지에서는 대형농기계의 작업이 곤란하며 30~40cm정도의 깊이갈이 또는 속흙을 뒤집는 심토반전은 40~60cm정도하면 토양물리성이 개선되고 염류집적해소
이상의 염류집적 토양관리 대책 중 자신의 토양과 작업능력 등을 고려하여 실천하기 바라며 제염작물 재배 또는 휴한기에 담수처리를 2~3주 정도 실시하고 유기질 퇴비시용 및 깊이갈이를 실시
-
-
토양검정에 의한 균형시비
-
시설하우스 토양시료 채취 방법
- 한지점당 채취방법은 표층의 잔재물(볏짚, 수피 등)를 제거하고〔그림1〕과 같이 먼저 첫 삽을 파내버린 후 옆면의 흙을 표층에서 작토층(토양에서 20cm정도 깊이) 까지의 흙을 채취
- 하우스내 시료채취 지점 선정은 〔그림2〕와 같이 하우스 1동에서 5개 지점 토양을 채취, 한필지(4동 기준)에서 총 20점이상 채취하여 골고루 섞어 500g정도 시료봉투에 담아 분석 의뢰
-
시료채취시 주의사항
- 토양검정의 오차중 시료채취 오차가 80~85%이므로 전 포장상태를 대표할 수 있는 지점을 선택 할 수 있도록 시료채취 방법을 숙지하여 시료채취
-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봉투 사용
- 시료채취 시기 : 매년 동일지점에서 폐경 직후부터 기비시용전
-
분석의뢰 요령
- 생산자 주소, 연락처, 지번, 지적(㎡), 지목, 재배작물을 정확히 기재
-
-
(그림 1)
-
(그림 2)
-
-
-
기비관리
- 하우스 재배는 노지보다 비료의 유실이 적으므로 기비를 너무 많이 주지 않아야 됨.
- 연작지에는 매년 1/3정도씩 기비를 줄여 시용
- 흡비력이 강한대목(신토좌 계통)에 접목하였을 때도 기비를 기준시비량의 1/2정도로 줄여서 시용
- 초세에 따라 추비위주로 시용하되 성숙기(쑥색기) 이후에는 가급적 질소비료는 시용하지 않고 칼륨비료와 고토비료를 시용하는 것이 좋음.
- 시설참외 표준시비량 (10g당)
시설참외 표준시비량과 실제시비량을 비료별 질소, 인산, 칼륨, 석회, 퇴비양을 10그램당으로 안내한표입니다. 비료 시 비 량 실제 시비량 (kg/10a) 계 밑거름 웃거름 밑거름 웃거름 질소 18.7kg 9.7kg 9kg 요소 : 21kg 생육상황을 관찰 질소, 칼륨, 칼슘 마그네슘, 붕소 등 웃거름 적절히 사용 인산 6.3 6.3 용성인비 : 32kg 칼륨 10.9 5.9 5 황산가리 : 12kg 석회 70 70 고토석회 : 120kg 퇴비 3톤 3톤 퇴비 : 3톤
-
화학비료 시비의 적정화
- 토양정밀 검정을 실시하여 염류집적 정도에 따른 적절한 시비 대책 수립하여 부족한 비료만 적절히 시용
- 비료성분의 삼투압 지수는 질소질>칼륨질>인산질 순으로 나타나고 물에 용해 속도가 느린 완효성 비료를 선택함
-
양질의 유기질 퇴비제조 요령
- 유기질 퇴비 주재료 : 수피, 톱밥, 파쇄목, 볏짚, 왕겨, 낙엽 등
- 유기질 퇴비 부재료 : 우분, 돈분, 계분 등 축분
- 주재료와 부재료 혼합비율
- - 주재료(70%) + 우분 30%
- - 주재료(80%) + 돈분 20%
- - 주재료(90%) + 계분 10%
- 여기에 농가부산물(참외덩굴, 쌀겨, 깻묵 등), 해산부산물, 미생물제 등을 첨가해 주재료와 부재료를 고루 혼합하고 수분은 손으로 쥐어 물이 스며나올 정도인 50~60%로 유지
- 퇴비더미는 폭 2m, 높이 1m, 약 2주일 간격 뒤집기 실시
-
참외덩굴을 이용한 퇴비화
- 참외덩굴은 태우지 말고 퇴비 자원화하여 지력 증진 -참외덩굴 비료성분량 분석 결과(2008, 경북농업기술원)(단위:kg)
질소, 인산, 칼륨, 석회, 마그네슘, 철, 아연의 건조덩굴비료량을 나타낸 표입니다. 구분 질소 인산 칼륨 석회 마그네슘 철 아연 건조덩굴 비료량 8.3 3.3 17.9 8.6 3.0 0.1 0.03 - 병해충발생 우려 대책
- - 참외덩굴은 덩굴파쇄기로 파쇄하여 포장에 넣은 후 습윤상태로 2개월이 지나면 바이러스까지 사멸됨
- - 진딧물, 응애, 담배가루이 발병 우려 시는 석회유황합제 100배액을 멀칭전 토양전면에 골고루 살포하면 피해가 거의 없으므로 퇴비화 하는 것이 좋음
- 참외덩굴은 태우지 말고 퇴비 자원화하여 지력 증진 -참외덩굴 비료성분량 분석 결과(2008, 경북농업기술원)(단위:kg)
참외덩굴 소각은 교통장애, 호흡장애, 대기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도로변의 교통사고 위험과 주민생활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므로 내 고장 이미지를 위해 덩굴 퇴비화에 다함께 참여합시다.
-
높은 이랑 만들기
-
높은 이랑을 만들면 지온상승이 잘되어 촉성재배에 유리
-
바깥이랑은 낮게, 내부이랑은 높게 만들기
- 폭우나 대설 등으로 인한 외부의 불량환경 차단
- 안정적인 근권부 확보로 장기재배 유리
-
-
본포 이랑 다지기
-
토양조건에 따라 정식 7~15일 전 3~5회 정도 이랑 다지기를 하고,토양모세관 연결되도록 충분히 관수한 후에 정식 뿌리가 깊고 넓게 활착됨
이랑을 만든 후 안정적인 초세관리를 위해 이랑 다지기를 실시할 경우 자신의 포장상태를 감안하여 이랑 다지는 강도를 조절 이랑 다지는 강도 : 사토 ›사양토 › 양토 › 식양토 -
효 과
- 급격한 생육변화 방지
- 토양수분 및 지온유지 효과
- 부패과, 불량과 방지
-
-
하우스내 지온 높이기
-
정식 15일전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 유기물 분해 촉진시켜 정식 후 가스피해 예방(유기물은 수분+온도로 분해됨)
-
정식 2주전부터 보온덮개를 아침에 열고 저녘에 덮어주어 충분한 지열을 확보해 모종 활착을 촉진
-
-
하우스 동간 피복
-
효 과
- 지온상승, 병해충 감소, 잡초방제, 수분조절 가능
-
설치방법
- 권취식 환기 하우스는 치마비닐이 있어 피복비닐을 치마비닐에 부착하여 설치
- 단동형하우스의 경우 외피복 비닐을 땅에 묻고 방풍 밴드 설치위해 철항을 꼽으므로 비닐 피복이 다소어려움
-
무처리 (2005년7월)
-
비닐설치구 (2005년7월)
-
자료담당자 안내 및 만족도조사
업데이트 날짜 : 2020-04-22 17:14:38